맨위로가기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AFF Championship)는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AFF)이 주관하는 국제 축구 대회이다. 1996년 싱가포르에서 처음 개최되었으며, 타이거 맥주, 스즈키, 미쓰비시 전기 등 기업의 후원을 받아 타이거컵, AFF 스즈키컵, AFF 미쓰비시 전기컵 등으로 불리기도 했다. 2018년부터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변경되었으며, 상위 9개 팀은 자동 진출, 10위와 11위 팀은 예선을 거쳐 10개 팀이 조별 리그를 진행한다. 태국이 7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싱가포르, 베트남,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이 우승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 - 1996년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
    1996년 9월 싱가포르에서 열린 제1회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에서 태국이 말레이시아를 꺾고 우승했으며, 자이날 아비딘 하산이 최우수 선수상, 네티퐁 스리통인이 득점왕을 차지했다.
  •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 - 2004년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
    2004년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는 베트남,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말레이시아에서 개최되었으며, 싱가포르가 결승에서 인도네시아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 1996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더 럭비 챔피언십
    더 럭비 챔피언십은 매년 7월부터 9월까지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아르헨티나 4개국이 참가하는 국제 럭비 유니온 대회로,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총 6경기를 치러 최종 우승팀을 가리며 다양한 트로피 경쟁이 펼쳐진다.
  • 1996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인디카 시리즈
    인디카 시리즈는 1996년 인디 레이싱 리그로 시작하여 2003년부터 현재 명칭을 사용하는 북미 오픈휠 자동차 경주 시리즈로, 규격 섀시와 2.2리터 V6 트윈터보 엔진을 사용하는 원메이크 시리즈이며, 오벌 트랙 외에 로드/스트리트 코스에서도 경주가 진행된다.
  • 국제 축구 대회 - 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은 동아시아 축구 연맹 소속 국가들이 참가하는 국제 축구 대회로, 남자부에서는 일본이 우승하고 소마 유키가 MVP를, 여자부에서는 일본이 우승하고 시미즈 리사가 MVP를 수상하였다.
  • 국제 축구 대회 - 2017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2017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은 동아시아 축구 연맹 국가들이 참가하는 국제 축구 대회로, 남자부에서 대한민국, 여자부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우승했으며 결승 라운드는 일본 도쿄, 예선 라운드는 괌 데데도와 홍콩에서 개최되었다.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
기본 정보
2024 아세안 유나이티드 FC 로고
로고
주최AFF
창립1996년
지역동남아시아
참가 팀 수10 (결승)
12 (예선 참가 가능)
예선 대상AFF–EAFF 챔피언스 트로피
최근 우승팀태국}} (7회 우승)
최다 우승팀태국}} (7회 우승)
최다 득점자티라신 댕다 (25골)
웹사이트aseanutdfc.com
현재 대회2024 ASEAN 챔피언십
명칭ASEAN 챔피언십
약칭ASEAN Championship
AFF Championship
토너먼트
팍안사리 경기장 AFF 2016 결승전
AFF 스즈키컵 2016 결승전 1차전 인도네시아태국 경기
목록1996
1998
2000
2002
2004
2007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2020
2022
2024

2. 역사

1996년 싱가포르에서 제1회 대회(타이거컵)가 개최되어 태국이 초대 챔피언에 등극했다.[1] 이 대회는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아시아 태평양 양조 회사의 브랜드인 타이거 맥주가 1996년부터 2004년 대회까지 후원하면서 '''타이거컵'''으로 불렸다. 2007년에는 대회 명칭이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AFF Championship)'로 변경되었다.[5]

2008년부터 2020년까지는 일본의 자동차 회사 스즈키가 후원하면서 'AFF 스즈키컵'으로 불렸다.[5] 2018년 대회부터는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이 도입되어, 특정 개최국 없이 아세안 회원국 전체에서 경기가 열렸다. 2022년에는 일본의 미쓰비시 전기가 새로운 메인 스폰서가 되면서 'AFF 미쓰비시전기컵'으로 불리게 되었다.[6] 2024년에는 대회 명칭이 'ASEAN 미쓰비시 전기컵'으로 변경되었다.

AFF 선수권 대회를 3회 연속 우승한 국가는 아직 없다. 싱가포르 (2004년과 2007년)와 태국 (2000년과 2002년, 그리고 2014년과 2016년)은 2회 연속 우승을 달성했다.

2013년 8월 27일 AFF에 가입했음에도 불구하고, 동남아시아 외 지역 회원국인 호주는 초기 합의의 일환으로 AFF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지 않았다. 하지만 호주는 최근 몇 년 동안 다양한 동남아시아 국가대표팀의 성장, 내부 압력, 그리고 더 일관성 있는 경쟁력 있는 축구를 보고자 하는 동남아시아의 관심 때문에 대회 참가를 모색하기 시작했다.[2][3][4]

역대 스폰서 및 명칭[12]
기간스폰서명칭
1996–2004타이거 맥주타이거컵
2007타이틀 스폰서 없음AFF 선수권 대회
2008–2020스즈키AFF 스즈키컵
2022미쓰비시 전기AFF 미쓰비시 전기컵
2024–ASEAN 미쓰비시 전기컵


3. 대회 방식

2018년 대회부터 새로운 방식이 적용되었다. 상위 9개 팀은 자동 진출하고, 10위와 11위 팀은 예선을 치른다.[7] 10개 팀은 5팀씩 두 그룹으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조별 리그를 진행한다.[7] 각 조 상위 2팀이 4강 토너먼트에 진출하며, 결승전 역시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된다. 2004년부터 녹아웃 스테이지는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2차전으로 진행된다. 원정 다득점 규칙은 2010년 대회부터 적용되었으나,[7] 2020년 대회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싱가포르에서 단일 개최되어 예외적으로 적용되지 않았다. 2007년 대회부터 3위 결정전은 없어졌다.

4. 역대 대회 결과

(PSO 5 - 4)2000년
(제3회)4 - 13 - 02002년
(제4회)
2 - 2
(PSO 4 - 2)2 - 12004년
(제5회)#1
3 - 1
2 - 12 - 12007년
(제6회)#2
2 - 1
1 - 1 &
공동 3위2008년
(제7회)
2 - 1
1 - 1 &
공동 3위2010년
(제8회)#3
3 - 0
1 - 2 &
공동 3위2012년
(제9회)
3 - 1
0 - 1 &
공동 3위2014년
(제10회)
2 - 0
2 - 3 &
공동 3위2016년
(제11회)
1 - 2
2 - 0 &
공동 3위2018년
(제12회)#4아세안2 - 2
1 - 0 &
공동 3위2020년
(제13회)#54 - 0
2 - 2 &
공동 3위2024년
(제14회)아세안 &
공동 3위





#
2004년 대회부터 결선 토너먼트를 단판 승부 방식에서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변경하였다. 원정 다득점은 적용되지 않는다.


#
2007년 대회부터 4강전에서 패배한 국가들을 대상으로 3위 결정전을 치르지 않는다. 이에 따라 4강전에서 패배한 국가들은 자동으로 공동 3위를 기록한다.


#
2010년 대회부터 결선 토너먼트에 기존의 홈 앤드 어웨이 방식과 더불어 원정 다득점이 적용된다.


#
2018년 대회부터 별도의 개최국 선정 과정을 거치지 않고, 대회에 참가하는 아세안 축구 연맹의 모든 회원국에서 경기를 개최한다.


#
2020년 대회는 원래 2020년 11월 23일부터 12월 31일까지 열릴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범유행의 여파로 인하여 2021년 12월 5일부터 2022년 1월 1일까지로 1년 정도 연기되었다.



4. 1. 국가별 참가 기록

1996년
1998년
2000년

2002년

2004년

2007년

2008년

2010년

2012년

2014년

2016년아세안
2018년××××9위••••••10위7위†7위9위8위8위8위8위8위7위8위•9위준우승6위3위4위3위=3위5위우승=3위준우승5위준우승6위†5위6위5위4위6위6위7위8위7위=3위5위3위준우승4위3위6위=3위우승=3위6위=3위=3위우승8위•××ו•ו•••5위우승5위6위우승우승=3위5위우승6위7위6위4위3위준우승준우승준우승5위=3위준우승5위5위준우승7위9위†•7위7위10위•7위•••8위8위10위8위8위9위7위7위•=3위=3위=3위6위=3위우승4위우승우승5위준우승준우승6위준우승우승우승=3위



국가우승준우승
7 (1996, 2000, 2002, 2014, 2016, 2020, 2022)3 (2007, 2008, 2012)
4 (1998, 2004, 2007, 2012)0
2 (2008, 2018)2 (1998, 2022)
1 (2010)3 (1996, 2014, 2018)
06 (2000, 2002, 2004, 2010, 2016, 2020)
합계1414




1996
(10)

1998
(8)

2000
(9)


2002
(9)




2004
(10)




2007
(8)




2008
(8)



2010
(8)




2012
(8)





2014
(8)





2016
(8)

2018
(10)

2020
(10)

2022
(10)

2024
(10)
총계
OFC 회원××××××0
조별리그×××××조별리그2
조별리그조별리그조별리그조별리그조별리그조별리그조별리그조별리그조별리그조별리그10
인도네시아 일부×조별리그조별리그조별리그조별리그4
4위3위준우승준우승준우승조별리그4강준우승조별리그조별리그준우승조별리그준우승4강Q15
조별리그조별리그조별리그조별리그조별리그조별리그조별리그조별리그조별리그조별리그조별리그조별리그조별리그조별리그14
준우승조별리그3위4위3위4강조별리그우승4강준우승조별리그준우승조별리그4강조별리그15
조별리그조별리그조별리그조별리그4위조별리그조별리그조별리그조별리그조별리그4강조별리그조별리그조별리그Q15
조별리그조별리그조별리그조별리그조별리그조별리그4강4강4강조별리그4강조별리그조별리그Q14
조별리그우승조별리그조별리그우승우승4강조별리그우승조별리그조별리그조별리그4강조별리그Q15
우승4위우승우승조별리그준우승준우승조별리그준우승우승우승4강우승우승Q15
3위준우승4위3위조별리그4강우승4강조별리그4강4강우승4강준우승Q15



;범례

4. 2. 국가별 통산 성적

wikitable

순위최고 성적
1158957201220398+105191align=left style="background:gold" 1996, 2000, 2002, 2014, 2016, 2020, 2022
2156935161812573+52121align="left" style="background:gold" 1998, 2004, 2007, 2012
3158243231616779+88152align="left" style="background:gold" 2008, 2018
4157835162713693+43121align=left style="background:gold" 2010
51579391822193133+60135align="left" style="background:silver" 2000, 2002, 2004, 2010, 2016, 2020
61451117335863–540align="left" style="background:#c96" 2010, 2012, 2014, 2018
715531692866114–4857align="left" style="background:#c96" 2004, 2016
81037712944115–7122align=left 9회
91449283939181–14214align=left 13회
1028107337–343align=left 1996, 2022
114160016968–590align=left 2004, 2018, 2020, 2024



1태국73212
2싱가포르4026
3베트남22812
4말레이시아13610
5인도네시아06410
6필리핀0044
7미얀마0022

4. 2. 1. 4강 기록

국가우승준우승3위4위
태국7311
싱가포르4020
베트남2171
말레이시아1341
인도네시아0611
필리핀0040
미얀마0011

4. 2. 2. 본선 대회

순위국가진출 횟수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점최고 성적
112회694317915860+98146우승 (5회)
212회6534171413672+64119우승 (2회)
312회6230131915089+61103준우승 (5회)
412회6528152211273+3999우승 (1회)
512회5628141410254+4898우승 (4회)
612회451410217091-21524위 (2회)
711회4589283599-64333위 (2회)
811회37253029141-11211조별 리그 (11회)
97회2630232391-689조별 리그 (7회)
101회4103115-143조별 리그 (1회)
112회8008637-310조별 리그 (2회)



국가우승준우승
태국7 (1996, 2000, 2002, 2014, 2016, 2020, 2022)3 (2007, 2008, 2012)
싱가포르4 (1998, 2004, 2007, 2012)0
베트남2 (2008, 2018)2 (1998, 2022)
말레이시아1 (2010)3 (1996, 2014, 2018)
인도네시아06 (2000, 2002, 2004, 2010, 2016, 2020)
합계1414



위 데이터는 2022년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 종료 시점까지를 기준으로 한다.



1태국73212
2싱가포르4026
3베트남22812
4말레이시아13610
5인도네시아06410
6필리핀0044
7미얀마0022


5. 수상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의 수상 내역은 다음과 같다.

대회최우수 선수득점왕대회 영 플레이어페어플레이상
1996자이날 아비딘 하산/Zainal Abidin Hassanms나티퐁 스리통-인/ณัฐพร ศรีตองอินth7미수여브루나이
1998응우옌 홍 선/Nguyễn Hồng Sơnvi미오 흘라잉 윈/Myo Hlaing Winmy4미수여
2000키아티숙 세나무앙/เกียรติศักดิ์ เสนาเมืองth겐두트 도니 크리스티아완/Gendut Doni Christiawanid
워라웃 스리마카/วรวุฒิ ศรีมะฆะth
5말레이시아
2002테르삭 차이만/เทิดศักดิ์ ใจมั่นth밤방 팜룽카스/Bambang Pamungkasid8미수여
2004리오넬 루이스/Lionel Lewis영어일함 자야 케수마/Ilham Jaya Kesumaid7미수여
2007노 알람 샤/Noh Alam Shah영어노 알람 샤/Noh Alam Shah영어10미수여
2008즈엉 홍 선/Dương Hồng Sơnvi부디 수다르소노/Budi Sudarsonoid
아구 카스미르/Agu Casmir영어
티라실 댕다/ธีรศิลป์ แดงดาth
4태국
2010피르만 우티나/Firman Utinaid사피 살리/Safee Salims5필리핀
2012샤흐릴 이샤크/Shahril Ishakms티라실 댕다/ธีรศิลป์ แดงดาth5말레이시아
2014차나팁 송크라신/ชนาธิป สรงกระสินธ์th사피크 라힘/Mohd Safiq Rahimms6베트남
2016차나팁 송크라신/ชนาธิป สรงกระสินธ์th티라실 댕다/ธีรศิลป์ แดงดาth6태국
2018응우옌 꽝하이/Nguyễn Quang Hảivi아디삭 크라이손/อดิศักดิ์ ไกรษรth8말레이시아
2020차나팁 송크라신/ชนาธิป สรงกระสินธ์th사파위 라시드/Safawi Rasidms
비엔베니도 마라논/Bienvenido Marañóntl
차나팁 송크라신/ชนาธิป สรงกระสินธ์th
티라실 댕다/ธีรศิลป์ แดงดาth
4프라타마 아르한/Pratama Arhanid인도네시아
2022티라톤 분마탄/ธีราทร บุญมาทันth티라실 댕다/ธีรศิลป์ แดงดาth
응우옌 띠엔 린/Nguyễn Tiến Linhvi
6마르셀리노 페르디난/Marselino Ferdinanid말레이시아


5. 1. 최우수 선수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의 최우수 선수(MVP)는 다음과 같다.

대회최우수 선수
1996년 AFF 선수권 대회자이날 아비딘 하산/Zainal Abidin Hassanms
1998년 AFF 선수권 대회응우옌 홍 선/Nguyễn Hồng Sơnvi
2000년 AFF 선수권 대회키아티숙 세나무앙/เกียรติศักดิ์ เสนาเมืองth
2002년 AFF 선수권 대회테르삭 차이만/เทิดศักดิ์ ใจมั่นth
2004년 AFF 선수권 대회리오넬 루이스/Lionel Lewis영어
2007년 AFF 선수권 대회노 알람 샤/Noh Alam Shah영어
2008년 AFF 선수권 대회즈엉 홍 선/Dương Hồng Sơnvi
2010년 AFF 선수권 대회피르만 우티나/Firman Utinaid
2012년 AFF 선수권 대회샤흐릴 이샤크/Shahril Ishakms
2014년 AFF 선수권 대회차나팁 송크라신/ชนาธิป สรงกระสินธ์th
2016년 AFF 선수권 대회차나팁 송크라신/ชนาธิป สรงกระสินธ์th
2018년 AFF 선수권 대회응우옌 꽝하이/Nguyễn Quang Hảivi
2020년 AFF 선수권 대회차나팁 송크라신/ชนาธิป สรงกระสินธ์th
2022년 AFF 선수권 대회티라톤 분마탄/ธีราทร บุญมาทันth


5. 2. 득점왕

wikitable

대회득점왕
1996 나티퐁 스리통-인7
1998 미오 흘라잉 윈4
2000 겐두트 도니 크리스티아완
워라웃 스리마카
5
2002 밤방 팜룽카스8
2004 일함 자야 케수마7
2007 노 알람 샤10
2008 부디 수다르소노
아구 카스미르
티라실 댕다
4
2010 사피 살리5
2012 티라실 댕다5
2014 사피크 라힘6
2016 티라실 댕다6
2018 아디삭 크라이손8
2020 사파위 라시드
비엔베니도 마라논
차나팁 송크라신
티라실 댕다
4
2022 티라실 댕다
응우옌 띠엔 린
6


5. 3. 영 플레이어

2020년 대회에서 인도네시아프라타마 아르한이 영 플레이어 상을 수상하였다. 2022년 대회에서는 인도네시아의 마르셀리노 페르디난이 영 플레이어 상을 수상하였다. 1996년부터 2018년까지의 대회에서는 해당 상이 수여되지 않았다.

```wikitable

대회대회 영 플레이어
1996 ~ 2018미수여
2020 프라타마 아르한
2022 마르셀리노 페르디난


5. 4. 페어플레이상

wikitable

대회페어플레이상
1996
1998
2000
2002
2004
2007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2020
2022


5. 5. 우승 감독

아세안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 감독
연도우승 감독국가대표팀
1996타와차이 사르트자쿨/타와차이 사르트자쿨th
1998배리 휘트브레드/배리 휘트브레드영어
2000피터 위드/피터 위드영어
2002피터 위드/피터 위드영어 (2)
2004라도이코 아브라모비치/라도이코 아브라모비치sr
2007라도이코 아브라모비치/라도이코 아브라모비치sr (2)
2008엔리케 칼리스투/엔리케 칼리스투pt
2010K. 라자고팔/K. 라자고팔ms
2012라도이코 아브라모비치/라도이코 아브라모비치sr (3)
2014키아티숙 세나무앙/키아티숙 세나무앙th
2016키아티숙 세나무앙/키아티숙 세나무앙th (2)
2018박항서
2020알렉상드레 폴킹/알렉상드레 폴킹pt
2022알렉상드레 폴킹/알렉상드레 폴킹pt (2)



라도이코 아브라모비치는 싱가포르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3회(2004, 2007, 2012) 우승을 달성했다.

6. 기록

6. 1. 최다 우승

태국이 7회로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의 최다 우승국이다. 우승 연도는 1996년, 2000년, 2002년, 2014년, 2016년, 2020년, 2022년이다. 그 뒤를 이어 싱가포르가 4회 우승을, 베트남이 2회 우승을 차지했다. 말레이시아는 1회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

6. 2. 연속 우승

태국은 2000년, 2002년, 2014년, 2016년, 2020년, 2022년에 우승하여 3회 연속 우승을 달성하였다. 싱가포르는 2004년, 2007년에 우승하여 1회 연속 우승을 달성하였다.

6. 3. 최다 점수 차 승리

인도네시아가 2002년 동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필리핀을 상대로 13-1로 승리한 경기는 겔로라 붕 카르노 경기장(자카르타)에서 열렸으며, 이는 대회 역사상 최다 점수 차 승리 기록이다.

6. 4. 최다 득점 선수

순위선수
1 티라실 당다25
2 노 알람 샤17
3 워라웃 스리마카15
레 콩 빈
5 레 후인 득14
6 아디사크 크라이손13
쿠르니아완 드위 율리안토
8 밤방 파뭉카스12
키아티숙 세나뭉
10 아구 카스미르11
11 카이룰 암리10
응우옌 띠엔 린



'''굵게''' 표시된 선수는 현역 선수이다. 티라실 당다는 2008년, 2012년, 2016년 및 2020년 대회에서 4골을 기록했다.

6. 5. 기타 기록

7. 마케팅

wikitext

스포트파이브(이전 명칭: 라가데르 스포츠)는 1996년 첫 대회부터 이 토너먼트에 참여해 왔다.[5]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는 아시아 태평양 양조 회사의 브랜드인 타이거 맥주가 1996년부터 2004년 대회까지 후원하면서 '''타이거컵'''으로 출범했다. 2007년 대회는 타이틀 스폰서 없이 AFF 선수권 대회로 불렸다. 2008년, 스즈키가 이 대회의 명명권을 획득하여 2020년 대회까지 '''AFF 스즈키컵'''으로 명명되었다.[5] 2022년, 미쓰비시 전기가 새로운 타이틀 스폰서가 되어[6][12] 2022년 대회는 '''AFF 미쓰비시 전기컵''', 2024년 대회부터는 '''ASEAN 미쓰비시 전기컵'''으로 명명되었다.

기간스폰서명칭
1996–2004타이거 맥주타이거컵
2007타이틀 스폰서 없음AFF 선수권 대회
2008–2020스즈키AFF 스즈키컵
2022미쓰비시 전기AFF 미쓰비시 전기컵
2024–ASEAN 미쓰비시 전기컵



역대 공식 경기구
연도공식 경기구 이름제조사
1996아디다스 퀘스트라/아디다스 퀘스트라영어아디다스
1998아디다스 트리콜로/아디다스 트리콜로영어아디다스
2000아디다스 트리콜로/아디다스 트리콜로영어아디다스
2002아디다스 피버노바/아디다스 피버노바영어아디다스
2004아디다스 로테이로/아디다스 로테이로영어아디다스
2007나이키 토탈 90 에어로 II (옐로우 윈터)/나이키 토탈 90 에어로 II (옐로우 윈터)영어나이키
2008나이키 토탈 90 옴니 (옐로우 윈터)/나이키 토탈 90 옴니 (옐로우 윈터)영어나이키
2010나이키 토탈 90 트레이서 (옐로우 윈터)/나이키 토탈 90 트레이서 (옐로우 윈터)영어나이키
2012나이키 맥심 (옐로우 윈터)/나이키 맥심 (옐로우 윈터)영어나이키
2014미트르 델타 V12S/미트르 델타 V12S영어미트르
2016미트르 델타 플루오 하이퍼심 (옐로우 윈터)/미트르 델타 플루오 하이퍼심 (옐로우 윈터)영어미트르
2018그랜드 스포츠 프리메로 문도 X 스타/그랜드 스포츠 프리메로 문도 X 스타영어그랜드 스포츠/그랜드 스포츠영어
2020워릭스 아세안 펄스/워릭스 아세안 펄스영어워릭스/워릭스영어
2022워릭스 베르사투/워릭스 베르사투영어워릭스/워릭스영어
2024아디다스 티로 프로/아디다스 티로 프로영어아디다스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의 현재 타이틀 파트너는 미쓰비시 전기이며, 프레젠팅 파트너는 쇼피이다. 공식 공급업체는 아디다스이며, 공식 서포터는 에이스쿡 베트남, 포카리 스웨트이다.

타이틀 파트너프레젠팅 파트너공식 공급업체공식 서포터
미쓰비시 전기쇼피아디다스


7. 1. 스폰서

스포트파이브(이전 명칭: 라가데르 스포츠)는 1996년 첫 대회부터 이 토너먼트에 참여해 왔다.[5]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는 아시아 태평양 양조 회사의 브랜드인 타이거 맥주가 1996년부터 2004년 대회까지 후원하면서 '''타이거컵'''으로 출범했다. 2007년 대회는 타이틀 스폰서 없이 AFF 선수권 대회로 불렸다. 2008년, 스즈키가 이 대회의 명명권을 획득하여 2020년 대회까지 '''AFF 스즈키컵'''으로 명명되었다.[5] 2022년, 미쓰비시 전기가 새로운 타이틀 스폰서가 되어[6][12] 2022년 대회는 '''AFF 미쓰비시 전기컵''', 2024년 대회부터는 '''ASEAN 미쓰비시 전기컵'''으로 명명되었다.

기간스폰서명칭
1996–2004타이거 맥주타이거컵
2007타이틀 스폰서 없음AFF 선수권 대회
2008–2020스즈키AFF 스즈키컵
2022미쓰비시 전기AFF 미쓰비시 전기컵
2024–ASEAN 미쓰비시 전기컵


7. 2. 공식 경기구

wikitable

연도공식 경기구 이름제조사
1996아디다스 퀘스트라/아디다스 퀘스트라영어아디다스
1998아디다스 트리콜로/아디다스 트리콜로영어아디다스
2000아디다스 트리콜로/아디다스 트리콜로영어아디다스
2002아디다스 피버노바/아디다스 피버노바영어아디다스
2004아디다스 로테이로/아디다스 로테이로영어아디다스
2007나이키 토탈 90 에어로 II (옐로우 윈터)/나이키 토탈 90 에어로 II (옐로우 윈터)영어나이키
2008나이키 토탈 90 옴니 (옐로우 윈터)/나이키 토탈 90 옴니 (옐로우 윈터)영어나이키
2010나이키 토탈 90 트레이서 (옐로우 윈터)/나이키 토탈 90 트레이서 (옐로우 윈터)영어나이키
2012나이키 맥심 (옐로우 윈터)/나이키 맥심 (옐로우 윈터)영어나이키
2014미트르 델타 V12S/미트르 델타 V12S영어미트르
2016미트르 델타 플루오 하이퍼심 (옐로우 윈터)/미트르 델타 플루오 하이퍼심 (옐로우 윈터)영어미트르
2018그랜드 스포츠 프리메로 문도 X 스타/그랜드 스포츠 프리메로 문도 X 스타영어그랜드 스포츠/그랜드 스포츠영어
2020워릭스 아세안 펄스/워릭스 아세안 펄스영어워릭스/워릭스영어
2022워릭스 베르사투/워릭스 베르사투영어워릭스/워릭스영어
2024아디다스 티로 프로/아디다스 티로 프로영어아디다스


7. 3. 현재 스폰서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의 현재 타이틀 파트너는 미쓰비시 전기이며, 프레젠팅 파트너는 쇼피이다. 공식 공급업체는 아디다스이며, 공식 서포터는 에이스쿡 베트남, 포카리 스웨트이다.

타이틀 파트너프레젠팅 파트너공식 공급업체공식 서포터
미쓰비시 전기쇼피아디다스


참조

[1] 웹사이트 About AFF https://www.aseanfoo[...] 2019-04-15
[2] 뉴스 Socceroos seeking entrance into 2020 Suzuki Cup https://www.smh.com.[...] 2019-01-31
[3] 웹사이트 Lessons from Indonesia's growth: Socceroos must participate in the ASEAN Championship for the sake of the future https://www.theroar.[...]
[4] 웹사이트 The time has come for Australia to take its place in the South-East Asian game https://www.frontpag[...]
[5] 웹사이트 Global News News.2008 https://www.globalsu[...] 2022-10-04
[6] 웹사이트 AFF Announces Mitsubishi Electric As The New Title Sponsor Of AFF Mitsubishi Electric Cup 2022 https://www.affmitsu[...] 2022-05-24
[7] 웹사이트 New format for AFF Suzuki Cup 2018 https://www.aseanfoo[...] 2023-03-07
[8] 뉴스 Singapore to host AFF Suzuki Cup 2020: Teams, how to watch & more https://goal.com/en-[...] 2021-09-28
[9] 뉴스 Thailand loses right to host tournaments https://www.bangkokp[...] Bangkok Post Public Co. Ltd.
[10] 뉴스 Chairman Of PSSI: Regarding The Flag At AFF 2020, We Will Follow Whatever The Decision Is https://voi.id/en/ol[...] 2021-11-24
[11] 웹사이트 WADA confirms non-compliance of five Anti-Doping Organizations (7 October 2021) https://www.wada-ama[...] 2021-10-07
[12] 웹사이트 AFF ANNOUNCES MITSUBISHI ELECTRIC AS THE NEW TITLE SPONSOR OF AFF MITSUBISHI ELECTRIC CUP 2022 https://www.affmitsu[...] 2023-08-08
[13] 웹사이트 New format for AFF Suzuki Cup 2018 http://www.aseanfoot[...] ASEANサッカー連盟 2017-09-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